1. 개요[편집]
2. 341000호대[편집]
옛 번호는 230-246, 249, 251-254, 270-272, 277-281이었으며, 이후 6자리로 개번되고 나서는 341B31편성부터는 모두 341000호대로 도입됐다.
3. 351000호대[편집]
옛 번호는 247-248, 250, 255-269, 273-276, 282-287이었으며, 이후 6자리로 개번되고 나서 351F29편성부터는 모두 351000호대로 도입됐다.
4. 도입 역사[편집]
4.1. 1세대형 (납작이)[편집]
4.1.1. 1차분 (1993-1995)[편집]
![]() |
230편성 (현 341B01편성) |
![]() |
263편성 (현 351F12편성) |
1차분은 230-267편성으로 총 38편성이 도입됐고, 이 중 230-246[2], 249[3], 251-254[4]편성은 1993년 도입 당시에는 6량이었으나 95년에 부수객차 4량을 추가 도입해 증결시켜 기존 6량 22편성 총합 132량에서 도입 후 10량 22편성 총합 220량이 됐다. 나머지 편성인 247-248[5], 250[6], 255-267[7]편성은 모두 도입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 편성이 6량 1편성으로, 6량 16편성 총합 96량이다. 이 편성 모두 도입 당시에는 교직겸용, ATS/ATC 겸용이었으나, 이후 분당선에 소속된 차량들은[8] 직류 및 ATS 장비가 취거됐다.
230-232, 234, 237, 243, 247-259, 261, 264, 266-267편성은 도시바 IGBT, 나머지는 도시바 GTO 소자다.
2024년 6월 21일 기준 1차분 도입분은 모두 휴/폐차되어 더 이상 본선에서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.
230-232, 234, 237, 243, 247-259, 261, 264, 266-267편성은 도시바 IGBT, 나머지는 도시바 GTO 소자다.
2024년 6월 21일 기준 1차분 도입분은 모두 휴/폐차되어 더 이상 본선에서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.
4.1.2. 2차분 (1996)[편집]
![]() |
270편성 (현 341B23편성) |
2차분은 268-272편성으로 총 5편성이 도입됐다. 이 중 첫 두 편성인 268-269편성[9]은 도입 당시부터 6량 1편성이었고, 교류 및 ATC 장비만 있었으며, 6량 2편성 총합 12량이다. 나머지 세 편성인 270-272편성[10]은 도입 당시부터 10량 1편성에 교직겸용, ATS/ATC 겸용이며, 10량 3편성 총합 30량이다.
2차분 차량들도 2024년 6월 21일 기준 모두 휴/폐차되어 더 이상 본선에서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. 다만,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351F17, 18편성이 매각돼 한동안 연구용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나 이후 폐차매각되었다.
2차분 차량들도 2024년 6월 21일 기준 모두 휴/폐차되어 더 이상 본선에서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. 다만,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351F17, 18편성이 매각돼 한동안 연구용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나 이후 폐차매각되었다.
4.1.3. 3차분 (1999)[편집]
![]() |
351F22편성 (구 276편성) |
4.2. 2세대형 (동글이)[편집]
4.2.1. 4차분 (1999, 341000호대 3차분)[편집]
![]() |
구 280편성 (현 341B29편성) |
4차분 중 341000호대 3차분은 안산선의 오이도역 연장개통에 따라 4호선에 추가로 반입된 편성들로, 277-281편성[16]의 총 10량 5편성, 총합 50량이 도입됐다. 이 중 341B26편성은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, 출입문에 새겨진 문양이 한국철도 100주년 표식인 채로 반입됐다. 또한 1차분과 달리, 4호선 2차분과 같이 도입 당시부터 10량 1편성으로 도입됐다는 차이점도 있다. 더 나아가,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중 100% 가연재로 도입된 최후의 차량이다.
277편성은 도시바 IGBT, 나머지는 모두 GTO 소자이다.
2024년이 지나기 전에 해당 세대의 전 차량들은 운용이 종료되었으며 2025년 6월에 전량 폐차되었다.
277편성은 도시바 IGBT, 나머지는 모두 GTO 소자이다.
2024년이 지나기 전에 해당 세대의 전 차량들은 운용이 종료되었으며 2025년 6월에 전량 폐차되었다.
4.2.2. 5차분[편집]
![]() | ![]() |
351F24편성 (구 283편성) | 351F27편성 (구 286편성) |
5. 개번 이력[편집]
편성 번호 개번 | ||||
개번 전 | 개번 후 | 소자 | 소속 | 개번 시기 |
230 | 341B01 | 도시바 IGBT | 2011년 | |
231 | 341B02 | |||
232 | 341B03 | |||
233 | 341B04 | |||
234 | 341B05 | |||
235 | 341B06 | 도시바 GTO | ||
236 | 341B07 | |||
237 | 341B08 | 도시바 IGBT | ||
238 | 341B09 | 도시바 GTO | ||
239 | 341B10 | |||
240 | 341B11 | |||
241 | 341B12 | |||
242 | 341B13 | |||
243 | 341B14 | 도시바 IGBT | ||
244 | 341B15 | 도시바 GTO | ||
245 | 341B16 | |||
246 | 341B17 | |||
247 | 351F01 | 도시바 IGBT | ||
248 | 351F02 | |||
249 | 341B18 | |||
250 | 351F03 | |||
251 | 341B19 | |||
252 | 341B20 | |||
253 | 341B21 | |||
254 | 341B22 | |||
255 | 351F04 | |||
256 | 351F05 | |||
257 | 351F06 | |||
258 | 351F07 | |||
259 | 351F08 | |||
260 | 351F09 | |||
261 | 351F10 | |||
262 | 351F11 | 도시바 GTO | ||
263 | 351F12 | |||
264 | 351F13 | 도시바 IGBT | ||
265 | 351F14 | 도시바 GTO | ||
266 | 351F15 | 도시바 IGBT | ||
267 | 351F16 | |||
268 | 351F17 | 도시바 GTO | ||
269 | 351F18 | |||
270 | 341B23 | 도시바 IGBT | ||
271 | 341B24 | 도시바 GTO | ||
272 | 341B25 | 도시바 IGBT | ||
273 | 351F19 | |||
274 | 351F20 | 도시바 GTO | ||
275 | 351F21 | |||
276 | 351F22 | |||
277 | 341B26 | 도시바 IGBT | ||
278 | 341B27 | 도시바 GTO | ||
279 | 341B28 | |||
280 | 341B29 | |||
281 | 341B30 | |||
282 | 351F23 | |||
283 | 351F24 | |||
284 | 351F25 | 도시바 IGBT | ||
285 | 351F26 | 도시바 GTO | ||
286 | 351F27 | |||
287 | 351F28 |
[1] 왜 2000호대가 아닌 2030호대냐면 당시에는 2100호대 기관차가 현역이었고 그 기관차들이 2128호까지 있었기 때문이었다.[2] 현 341B01-341B17[3] 341B18[4] 현 341B19-341B22[5] 현 351F01-351F02[6] 현 351F03[7] 현 351F04-351F16[8] 이하 247-248, 250, 255-267편성[9] 현 351F17-351F18[10] 현 341B23-341B25[11] 현 351F19-351F22[12] 현 351F19[13] 현 351F22[14] 도입 당시에는 교류, ATC 전용이었으나, ATS 장비를 개조로 추가했다.[15] 신인천-지상청량리[16] 현 341B26-341B30[17] 현 351F23-351F28